분당서울대-경상대병원 일반인 1081명 대상 인지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혈액 속에 염증이 전신으로 퍼져 고열과 저체온증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중증패혈증/패혈증성 쇼크는 30일 내 사망률이 20~30%에 이르는 심각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인지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이재혁, 경상대병원 강창우 교수팀은 오는 9월 12일 ‘세계 패혈증의 날’을 맞아, ‘패혈증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설문조사와 더불어 분당서울대병원과 경상대병원 응급실 내원객 108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고 말했다.

그 결과, 패혈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일반인은 2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6.9%가 패혈증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나, 어떤 질환인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그 중 35%만이 답을 맞췄다. 또 전염병이 아닌 패혈증을 전염성 질환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무려 71.7%에 달했다.

반면 급성심근경색과 뇌졸중의 경우에는 각각 94.3%, 96.9%가 질환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어떤 질환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경우도 각각 80%, 9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각 질환에 대한 사망률 역시 실제와 다르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질환의 30일 내 사망률은 중증패혈증(20-30%), 뇌졸중(9.3%), 급성심근경색(2.7-9.6%) 순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번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59.7%가 패혈증보다 급성심근경색의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뇌졸중의 경우에도 41%가 패혈증보다 뇌졸중의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잘못 인지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패혈증이 이들 질환보다 발생률이 낮은 것일까. 국내 패혈증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패혈증의 한해 발생률을 10만명당 300-1000명으로 보고 있다. 급성 심근경색증 208명, 뇌졸중 104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김규석 교수는 “중증패혈증과 급성심근경색, 뇌졸중은 모두 사망률이 높고 6시간 이내의 응급처치가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들이지만, 패혈증의 경우에는 다른 중증 질환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며 “패혈증을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의 약 70% 이상이 대중매체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접한 것으로 답한 것을 고려했을 때, 일반인들의 패혈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져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패혈증(패혈성 쇼크)은 인체에 침입한 미생물 혹은 세균으로 인해 전신성 염증 반응을 보이는 질환을 말한다. 면역력이 좋고 건강한 사람은 이런 침투 세균을 백혈구가 물리칠 수 있지만, 고령, 항암치료 등 면역 억제제 투여, 간 질환, 알코올 중독이나 영양실조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 혹은 신생아의 경우에는 패혈증이 발생하기 쉽다.

패혈증은 가정에서 환자 스스로 처치할 수 없는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발현되는 즉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혹은 반대로 36도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등 체온이상반응과 호흡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하는 빈호흡, 심박수가 분당 90회 이상인 빈맥이다.

패혈증의 일반적인 치료는 수액 요법, 항균제 치료, 패혈증의 원인 병소 제거 등이며, 경증이라면 일반 병실에서 치료를 시작하지만 중증이 되면 사망의 위험 또한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중환자실로 입원하게 되는데, 최초 진단 시 이미 중증인 경우가 많아 미국의 경우에는 약 50%가 중환자실로 입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혈압이 내려가므로 혈압을 올리는 약(혈압 상승제)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다른 처치를 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박형구 기자
저작권자 © 부패방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