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스코, 2012~2017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예측 발표
    - 2017년 전세계 연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134 엑사바이트…전세계인 하루 1개씩 모바일 동영상 감상 수준
    - 세계인구수 능가하는 개인 단말기, M2M 애플리케이션 등 모바일 인터넷 연결 수가 주원인
(서울=뉴스와이어) 2013년 02월 06일 -- 시스코가 ‘2012~2017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Cisco® Visual Networking Index Global Mobile Data Traffic Forecast for 2012-2017)’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2년을 기준으로 오는 2017년에는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13배 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한민국은 전세계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11배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 같은 급격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는 개인 단말기, M2M 애플리케이션 등의 모바일 인터넷 연결 수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UN이 예상하는 2017년 76억명의 전세계 인구수를 능가할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금번 시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에는 월별 11.2엑사바이트씩, 2017년까지 연간 134엑사 바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성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지난 2000년과 비교하면 전체 유무선 트래픽의 134배의 해당하는 분량일 뿐 아니라 전세계인이 매일 10개씩 1년동안 30조개의 MMS 또는 인스타그램 등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과 같은 성과. 또 전세계인이 하루 1개씩 1년 동안 3조개의 유투브 등의 동영상을 모바일로 감상한 결과와 같은 수준이다. 한편 오는 2017년 대한민국은 월별로는 0.45테라바이트씩, 2017년까지 연 5.4테라바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성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2012-2017년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전세계 유선 데이터 트래픽보다 3배 더 많아질 것으로도 내다봤다. 또한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를 주도하는 주요 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 모바일 사용자 증가: 전세계 모바일 사용자는 2012년 43억명에서 2017년 52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한국은 2012년 4,400만명에서 2017년 4,700만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 모바일 연결 증가: 2012년에는 M2M 포함 전체 모바일 접속 가능 기기 및 연결 수가 70억개에 불과했다면 2017년에는 M2M 연결만 17억개에 달하는 등 전체 모바일 접속 기기·연결 수는 100억개에 이를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2012년 전체 모바일 기기 연결 수가 6,400만개였다면 2017년에는 M2M 연결만 2,600만개에 달하는 등 전체 모바일 가능 기기 및 연결 수가 8,600만개에 이를 전망이다.

- 모바일 속도 증가: 전세계 모바일 네트워크 평균 속도는 2012년0.5 Mbps에서 2017년 3.9 Mbps로 7배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한국의 경우 2012년 2Mbps에서 17.4Mbps로 9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모바일 동영상 증가: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모바일 동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51%에서 2017년 66%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2012년 64%에서 2017년 74%로 증가할 것이란 예측이다.

아울러 이번 보고서는 2016년까지 전체 스마트폰·태블릿의 71%(16억대)가 IPv6 기반의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더 나아가 2016년까지 전세계 모바일 기기의 39%(40억대 이상)가 IPv6를 지원할 것으로 내다 봤다.

시스코의 제품 및 솔루션 마케팅 담당 부사장인 더그 웹스터(Doug Webster)는 “2017년까지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급격하게 늘어날 것이다. 전세계인이 매일 10개씩의 이미지를 주고 받으며 1년동안에만도 30조개의 이미지를 서로 주고 받는다고 상상해 보라. 또 매일 한 개씩 비디오 클립을 감상으로써 결론적으로는 연간 3조개의 비디오를 주고받게 된다는 전망인 것이다. 즉, 오늘날은 결코 상상조차 어려운 엄청난 결과치가 수년 후인 2017년에는 가능해질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치는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캠페인의 일환으로 사람과 데이터, 프로세스, 데이터는 물론 사물(things)들까지도 인터넷 연결,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치있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려는 시스코의 전략과 일맥상통한다”고 강조했다.

2012~2017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기기·통신 영향력

- 2017년 스마트폰, 노트북 및 태블릿은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93%를 차지할 전망이다.
- 2017년 자동차 GPS 시스템, 자산 추적 시스템, 의료용 앱과 같은 M2M 트래픽은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5%를 차지할 전망이다.
- 2017년 기본 휴대 단말기는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나머지 2%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 2012년에는 모바일 연결 기기·모바일 통신(10억)의 14%가 IPv6를 지원했지만, 2017년에는 이 수치는 41%(42억)로 증가할 전망이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유선 네트워크로 트래픽 분산

- 통신사업자들은 모바일 인터넷 수요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점차 유선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로의 트래픽 분산(traffic offload)을 모색하고 있다.
- 2012년에는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33%(월 429페타바이트)를 분산 처리했지만 2017년에는 분산 처리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전체 46%(월 9.6엑사바이트)에 달할 전망이다.

지역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예상 증가율

2012-2017년 지역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77% (17.3배 증가)
- 아시아 태평양 지역: 76% (17배 증가)
- 중남미 지역: 67% (13.2배 증가)
- 중앙유럽 및 동유럽 지역: 66% (12.8배 증가)
- 북미 지역: 56% (9.4배 증가)
- 서유럽 지역: 50% (7.6배 증가)

한편,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생성 측면에서는 아태 지역이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각 지역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생성 양은 다음과 같이 전망된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월 5.3엑사바이트
- 북미 지역: 월 2.1엑사바이트
- 서유럽 지역: 월 1.4엑사바이트
-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월 0.9엑사바이트
- 중앙유럽 및 동유럽 지역: 월 0.8엑사바이트
- 중남미 지역: 월 0.7엑사바이트

전세계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속도 증가

2012년에서 2017년 사이 모바일 통신 속도는 평균 7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모바일 통신 속도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기여하는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파악된다.

4G 도입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

전세계 수많은 모바일 통신업체들이 개인 및 비즈니스 사용자의 무선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4G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업체들은 여러 신흥 시장에서 새로운 4G 모바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통신시장이 성숙한 지역에서는 기존 2G/3G 네트워크를 4G 기술로 보완하거나 교체하고 있다. 시스코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4G 기술 성장과 영향력을 예측했다.

- 2012년 2G는 전세계 모바일 기기/M2M 통신의 76%를 지원했고, 3G와 4G는 23%와 1%를 각각 지원했다.
- 2012년 4G 통신은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14%(월 124페타바이트)를 차지했다.
- 2017년 2G 네트워크는 전세계 모바일 기기/M2M 통신의 33%를 지원하고, 3G와 4G 네트워크는 각각 57%와 10%를 지원할 전망이다.
- 2017년 4G 통신은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45%(월 5엑사바이트)를 차지하고, 4G 트래픽은 2012년에서 2017년 40배 증가하며, 연평균 109%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 2012년 4G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월 평균 2기가바이트 생성되었다. 이는 2G 및 3G 트래픽이 월 평균 0.110기가바이트 생성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18배 많은 수치이다.

이번 조사는 독립적인 애널리스트 전망 보고서와 실제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즉, 시스코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도입률, 분단위 사용량, 전송 속도 수치들이 적용된 결과이다.
SNS 기사보내기
[부패방지뉴스 편집부]
저작권자 © 부패방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